반응형
건설 및 토목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와 개념에 대해 알아봅시다. 이 글은 시험이나 학습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.
1. 알루미늄의 특징
알루미늄은 가볍고 내식성이 뛰어난 재료로 건설에서 널리 사용됩니다. 그러나 다음과 같은 특징 중 옳지 않은 점이 있습니다:
- 적외선, 자외선 등의 광선과 전자파를 잘 흡수한다.
- 이는 사실과 다릅니다. 알루미늄은 오히려 광선과 전자파를 잘 반사하는 특성이 있습니다.
올바른 특징들:
- 극 저온에서도 우수한 인성을 유지한다.
- 내식, 내후성이 좋고 가공성이 뛰어나다.
- 철이나 동의 비중의 1/3 정도로 가벼워 경량 구조물에 적합하다.
2. 플라스틱의 장단점
플라스틱은 건설에서 마감재나 절연재로 활용됩니다. 주요 특징 중 잘못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내열성 및 내후성이 강하다.
-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내열성과 내후성이 약합니다. 특정 고기능성 플라스틱만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
올바른 장점들:
- 절연재료로 널리 사용된다.
- 경량으로 강인하며, 가공이 용이하다.
- 내수성, 새습성 및 내식성이 뛰어나다.
3. 아스팔트 혼합물의 특징
구스아스팔트혼합물은 방수효과가 큰 아스팔트 혼합물입니다. 고온에서 유동성을 이용해 시공되며, 틈새가 적어 밀도가 높은 방수층을 형성합니다.
4. 지오그리드의 주된 기능
지오그리드는 도로지반 및 보강토옹벽 등에 사용됩니다. 이 재료의 주된 기능은 보강기능으로,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.
5. 시멘트 클린커 화합물과 강도
시멘트의 화합물 중 **규산2석회(C2S)**는 장기강도 및 화학적 저항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. C2S의 비율을 증가시키면 초기강도는 느리게 발현되지만, 장기적으로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됩니다.
6. 흙의 간극비(e)와 간극률(n) 계산
다음 조건에서 간극비와 간극률을 계산해보겠습니다:
- 흙 부피: 100
- 흙입자 부피: 80
- 물 부피: 15
- 공기 부피: 5
계산:
- 간극비:
- 간극률:
결과: 간극비(e) = 0.25, 간극률(n) = 20%
7. 흙의 수평토압
흙의 수평토압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점은:
- 랜킨(Rankine)의 토압이론은 흙의 점착력과 벽체의 마찰력을 고려한다.
- 랜킨의 이론은 점착력과 벽체 마찰력을 고려하지 않습니다.
올바른 설명:
- 수동토압: 벽체가 안쪽으로 변위가 생길 때 발생.
- 정지토압: 벽체가 변위하지 않을 때 발생.
- 주동토압: 벽체가 바깥쪽으로 변위할 때 발생.
8. 콘크리트 강도
콘크리트 강도와 관련된 잘못된 설명은:
- 물/결합재(시멘트) 비가 작을수록 강도도 작다.
- 실제로 물/결합재 비가 작을수록 강도는 커집니다.
올바른 설명들:
- 하중 속도가 빠를수록 강도가 커진다.
- 부순돌(쇄석)을 사용하면 강도가 높아진다.
- 시멘트의 분말도가 크면 초기 강도가 증가한다.
9.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
워커빌리티(Workability)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거푸집에 쉽게 다져지고, 재료의 분리 없이 다룰 수 있는 정도를 나타냅니다.
10. 포틀랜드 시멘트의 성질
시멘트의 성질 중 잘못된 설명은:
- 시멘트가 풍화하면 강열감량이 감소되어 풍화의 정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.
- 시멘트가 풍화하면 강열감량이 증가합니다.
올바른 설명들:
- 수경율이 크면 초기강도와 수화열이 증가한다.
- 불용해 잔분은 소성 반응의 완전성을 확인하는 척도다.
- 풍화된 시멘트는 비중이 감소한다.
이 글이 건설 및 토목 관련 공부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!
반응형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내년(2025년) 비수도권 미분양 신규 구입 세제 혜택 적용 (0) | 2024.12.12 |
---|---|
서울시 부동산 일일 동향 보고 24년 12월 12일 (2) | 2024.12.12 |
12월 12일 부동산 간추린 주요뉴스 (3) | 2024.12.12 |
댓글